<STRONG>[로컬이슈]춘천 민간위탁공공서비스행정 이대로좋은가<BR> -노사갈등 계속 서비스경쟁 불가능<BR><BR></STRONG> 최근 시 안팎에서 생활쓰레기 처리와 시내버스 운영 등 시가 민간에 위탁한 각종 공공서비스 분야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. <BR><BR> 민간위탁제도는 `작은 정부라는 명분 아래 공공서비스 분야를 민간업체에 맡기고 춘천시가 일정부분 지원하며 진행해 나가는 사업이다. <BR><BR> 하지만 관련 업체 및 시민단체에서는 효율적인 예산 집행과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라는 본래 취지 달성을 위해 현재의 민간위탁 제도를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. <BR><BR><B> ■민간위탁, 무엇이 문제인가 </B><BR><BR> 2001년 처음 민간위탁제도가 도입된 춘천시 생활폐기물 수거 업무는 현재 여러가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. <BR><BR> 쓰레기 수거를 담당하고 있는 춘천지역 민간업체의 직원들은 최근 연일 시청 앞에서 집회를 벌이며 쓰레기 처리 행정의 개선을 촉구하는 등 시와 갈등을 빚고 있다. <BR><BR> 이들은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업무 특성상, 현재의 민간위탁체제로는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없고 오히려 환경미화원에 대한 차별대우를 불러오고 있다는 지적이다. <BR><BR> 또 수거량에 따라 위탁비용이 정해지다 보니 각 업체들은 수거해서는 안되는 것들까지 마구잡이로 수거하며 쓰레기 분리배출 확대와 쓰레기 발생량 감소라는 민간위탁 도입 취지에 어긋난다는 주장이다. <BR><BR> 실제 시의 계약행정체계는 민간위탁의 장점인 자유경쟁을 통한 서비스 질 제고를 꾀하지 못하고 있다. <BR><BR> 시는 현재 다른 지자체의 2~3배에 달하는 12곳의 지역 수거업체가 포함된 쓰레기수거업체 협회와 위탁 처리 계약을 맺고 있다. 협회측과 계약을 하다보니 신규 업체의 진입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위한 경쟁도 사라졌다. <BR><BR>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“민간위탁의 경우 업무 효율성이 높아야 하는 데 현재와 같은 계약 형식으로는 이런 장점을 기대하기 힘들다”며 “수거 업체의 노사 갈등만 계속되는 현실”이라고 했다. <BR><BR> 시내버스의 경우도 민간사업자인 대동·대한운수가 경영상 어려움을 겪으면서 노사갈등, 서비스 질 하락, 시의 지원금 투입이라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. <BR><BR><B> ■`시 직영및 공영 촉구</B><BR><BR> 해당 업체 직원들과 시민·사회단체에서는 지속적으로 시 직영및 공영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. <BR><BR> 쓰레기 수거나 시내버스 운영 같은 공공서비스 분야는 경제 논리에 맡기기에는 부적절하다는 것이다. <BR><BR> 최근 강원지역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팀이 발표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생활쓰레기 위탁 용역원가의 경우, 인건비 등에 대한 객관적인 산정 근거가 상당부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. <BR><BR> 또 관련조례 개정에 따른 임금 및 노동조건을 명시, 심의 감독하는 계약준수제의 도입과 무분별한 민간위탁 추진의 규제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. <BR><BR> 시내버스 분야에서도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인력및 비수익노선에 대한 개선작업과 준공영제와 도입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. <BR><BR> 그러나 정작 담당행정청인 시는 예산 등 여러가지 문제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. <BR><BR> 특히 사기업의 노·사 문제가 얽혀 있는 만큼 행정차원의 직접적인 개입이 어렵다는 점만 강조하고 있다. <BR><BR> 시 관계자는 “일단 위탁을 한 이상 업체 내부의 노사문제에는 주도적으로 개입하기 힘든 것이 현실”이라며 “쓰레기 감량화를 추진하겠지만 직영제 전환 등은 대안은 예산이나 조직확충 등 여러가지 면에서 문제가 있다”고 밝혔다. 춘천=지환기자·haji@kwnews.co.kr<BR><BR>(강원일보 사회면2006-10-30 기사 )<!--<--> <BR><BR><BR>[강원일보] 생활쓰레기 관리 제대로 안된다<BR> -환경과공해연구회의 발표 음식물쓰레 재활용률 45%불과 전국 최하위 <BR><BR> 도내 생활쓰레기 관리가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. 환경과공해연구회의가 최근 발표한 `2004년 전국 지자체 생활쓰레기 관리실태 평가결과에 따르면 도내 생활·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은 각각 32%와 45%인 것으로 조사됐다. 이는 전국 평균 49%와 81%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로 전국 16개 시·도 가운데 최하위다. <BR><BR> 도내 생활폐기물 대부분이 재활용되지 않고 그대로 매립되면서 쓰레기매립장 수명을 단축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. 도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은 1.2㎏으로 전국평균 1.0㎏를 웃돌았다. 생활폐기물 배출량이 가장 적은 곳은 경기도로 1인당 0.86㎏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. 쓰레기 재활용은 인구가 집중된 도시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밖의 지역에서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. <BR><BR> 생활폐기물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내처럼 인구가 분산된 지역에 대한 수거시스템 개발과 음식물쓰레기를 자체적으로 퇴비화 할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. <BR><BR> 도내 폐가구 등 대형폐기물 불법 매립도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. <BR><BR> 29일 환경부가 국회 환노위 안홍준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18개 시·군 가운데 16곳이 대형폐기물을 매립에 의존하고 있다. 특히 10개 자치단체는 소각과 매립을 병행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. <BR><BR> 환경과공해연구회 관계자는 “폐기물 관리체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주체들간 협조와 정확한 실태파악을 통해 지속가능한 처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”고 했다. 권원근기자·stone1@kwnews.co.kr <BR><BR>출처 : 강원일보 정치면 2006-10-30 기사<BR><A href=
http://www.kwnews.co.kr/new_view.asps=101&aid=206102900092&t=101 target=_blank>
http://www.kwnews.co.kr/new_view.asps=101&aid=206102900092&t=101</A> <BR>